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온라인 마케팅에서 SA 와 DA 는 각각 무엇인가?

by 초록보석 2025. 7. 14.
반응형

온라인 마케팅에서 'SA' 는 무엇인가?

SA Search Advertising 또는 Searching Advertisement의 약자로, 일반적으로 검색광고를 의미합니다.

 

SA 정의

사용자가 네이버, 구글, 다음 등 검색엔진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할 때, 검색 결과 상단이나 하단에 노출되는 광고로, '키워드 광고'라고도 불립니다.

 

SA 특징

키워드 기반 타겟팅 : 광고주는 특정 키워드를 지정하고, 해당 키워드를 검색한 사용자에게만 광고가 노출됩니다.

높은 전환율 : 이미 관심이 있는 사용자가 검색하는 순간 노출되기 때문에 구매나 문의 등 전환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금 방식 : 주로 클릭당 비용(CPC, Cost Per Click) 방식이 사용됩니다. , 광고가 노출되는 것만으로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만 비용이 청구됩니다.

광고 위치 : 검색 결과의 최상단(파워링크, 프리미엄링크 등)에 주로 노출됩니다.

advertising

온라인 마케팅에서 'DA'는 무엇인가?

DA Display Advertising의 약자로, 디스플레이 광고를 의미합니다.

 

DA 정의

DA는 이미지, 동영상, HTML5 등 다양한 시각적 요소를 활용해 웹사이트, 모바일 앱, 소셜 미디어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노출되는 광고입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배너 광고, 팝업 광고, 네이티브 광고 등이 모두 DA에 포함됩니다.

 

DA 특징

시각적 임팩트 : 이미지,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 시각적 자극을 통해 사용자의 관심을 끌고, 브랜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광고 게재 위치 다양 : 웹사이트, , SNS, 동영상 플랫폼 등 다양한 채널에서 노출됩니다.

정교한 타겟팅 : 관심사, 연령, 지역, 행동 패턴, 리타겟팅 등 세분화된 타겟팅이 가능합니다.

브랜드 인지도 강화 : 반복적 노출과 감성적 메시지 전달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다양한 과금 방식 : 클릭당 비용(CPC), 노출당 비용(CPM), 전환당 비용(CPA) 등 다양한 결제 방식이 활용됩니다.

 

DA 형태

배너 광고 : 웹사이트 상단, 측면, 본문 등 다양한 위치에 노출되는 사각형 광고.

네이티브 광고 : 콘텐츠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형태의 광고.

리타겟팅 광고 : 사이트 방문 경험이 있는 사용자에게 다시 광고를 노출.

 

DA 활용 목적

브랜드 인지도 확대

제품·서비스 홍보

잠재고객 유입 및 전환 유도

 

요약하면, DA(디스플레이 광고)는 시각적 요소를 활용해 다양한 온라인 채널에서 브랜드 인지도와 도달률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 광고 방식입니다.

SA DA

SA DA의 차이

구분 SA (Search Advertising) DA (Display Advertising)
노출 위치 검색엔진 결과 페이지 웹사이트, , 배너 등
타겟 방식 키워드 기반 관심사, 연령, 지역 등
전환율 높음 상대적으로 낮음
목적 즉각적 전환 유도 브랜드 인지도 강화

 

 

반응형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SEO 에서, EEAT 란 무엇인가?  (0) 2025.08.05
마케팅의 CRM 이란?  (0) 2025.07.28
구글 SEO 란 무엇인가?  (0) 2025.07.05
GDN 이란 무엇인가? GDN 마케팅  (0) 2023.11.16
'뉴로 마케팅' (neuromarketing) 이란 ?  (0) 202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