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6

신속통합기획 1차 선정구역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1차 공모 선정구역 (21개소) 01. (가칭) 종로 창신동 23 / 숭인동 56 일대 구역면적 : 84,354㎡(1종~2종) 토지등소유자 : 711명 입지 : 창신역(6호선) 역세권 02. (가칭) 용산 청파2구역 구역면적 : 83,788㎡(1종~3종) 토지등소유자 : 1,505명 입지 : 배문중,고등학교 인접 03. (가칭) 성동 마장동 382 일대 구역면적 : 18,749㎡(2종(7층)) 토지등소유자 : 136명 입지 : 마장역(5호선) 역세권 04. (가칭) 동대문 청량리동 19 일대 구역면적 : 27,981㎡(2종) 토지등소유자 : 339명 입지 : 청량중,고등학교 인접 05. (가칭) 중랑 면목동 69-14 일대 구역면적 : 58,540㎡(1종~2종) 토지등소유자 : 657.. 2023. 6. 21.
2차 공공재개발 선정구역 2차 공공재개발 선정구역 (8곳) 1. 마포구 아현동 699 일대 규모 : 105,609.2㎡(1종/2종(7)/2종/3종/준주거) 입지 : 500m 내외 충정로역(2,5호선) 아현역(2호선), 애오개역(5호선) 예상세대수 : 총 3,115세대 2. 영등포구 도림동 26-21 일대 규모 : 102,366㎡(1종일반~3종일반) 입지 : 500m 내외 영등포역(1호선) 예상세대수 : 총 2,322세대 3. 종로구 연건동 305 일대 규모 : 14,153㎡(2종일반,3종일반,일반상업) 입지 : 혜화역(4호선), 종로5가역(1호선) 600m권 예상세대수 : 총 447세대 4. 중랑구 면목동 527 일대 규모 : 47,780㎡(1종일반~3종일반) 입지 : 500m 내외 사가정역(7호선) 예상세대수 : 총 1,022.. 2023. 6. 20.
1차 공공재개발 선정구역 (2) 13. 숭인동1169 구역 규모 : 14,157㎡(준주거) 입지 : 신설동역(1,2호선,우이신설선) 역세권 예상세대수 : 총 410세대 14. (가칭) 신월7동2 구역 규모 : 90,346㎡(1종주거~2종주거(7층)) 입지 : 온수도시자연공원 인접 예상세대수 : 총 2,219세대 15. (가칭) 홍은1 구역 규모 : 11,466㎡(2종주거~3종주거) 입지 : 홍제역(3호선) 역세권 예상세대수 : 총 341세대 16. (가칭) 충정로1 구역 규모 : 8,075㎡(3종주거~준주거) 입지 : 충정로역(2,5호선) 역세권 예상세대수 : 총 259세대 17. (가칭) 연희동721-6 구역 규모 : 49,745㎡(1종주거~3종주거) 입지 : 안산도시자연공원 인접 예상세대수 : 총 1,094세대 18. (가칭) 거여.. 2023. 6. 19.
1차 공공재개발 선정구역 (1) 1. 신문로2-12 재개발구역 추진 : 구역지정(`83) 규모 : 1,249㎡(준주거~일반상업) 입지 : 광화문역(5호선) 역세권 2. 양평13 재개발구역 추진 : 구역지정(`09) → 조합설립(`10) 규모 : 27,442㎡(준공업) 입지 : 양평역(5호선) 역세권 3. 양평14 재개발구역 추진 : 구역지정(`13) → 추진위(`14) 규모 : 11,082㎡(준공업) 입지 : 양평역(5호선) 역세권 4. 봉천13 재개발구역 추진 : 추진위(`06), 구역지정(`08) 규모 : 12,272.5㎡(준주거) 입지 : 봉천역(2호선) 역세권 5. 신설1 재개발구역 추진 : 추진위(`05), 구역지정(`08) 규모 : 11,204.15㎡(2종) 입지 : 신설동역(1,2호선) 역세권 6. 용두1-6 재개발구역 추.. 2023. 6. 18.
대한상공회의소 자격증 조회 방법 & 확인서 출력 예전에 딴 '컴퓨터 활용능력 2급' 자격증이 어디 있는지, 언제 땄는지 모르겠어서 찾아 보았어요. 이력서에 한 줄 넣을래도 취득 날짜를 적어야 하잖아요. '컴퓨터 활용능력 자격증'은 에서 시험을 치렀던 기억이 나네요. 우선 대한상공회의소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 (korcham.net) 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 license.korcham.net 을 클릭하고 ID와 비번을 치고 들어갑니다. ID가 기억이 안나서 찾아보니, 가입이 안되어 있다네요! ㅡoㅡ 오~ 이런~ 가입한 줄 알았는데. 버튼을 눌러 가입합니다. 오늘 블로그 쓰면서 저도 가입하네요. ㅋㅋㅋ 시험 접수할 때 입력한 정보가 저장이 되어 있던건지 회원가입 개인정보를 입력하다 보니 사진정보를 알아서 불러오네요. 허허.. 2023. 6. 17.
ESS,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하여 ESS 란, Energy Storage System 의 약자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말한다. 주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수백 KWh 이상의 전력을 저장하는 단독 시스템을 ESS라 한다. ESS는 전력 공급과 수요 사이의 불균형을 조절하고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ESS는 주로 다음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 ● 배터리 저장 시스템(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BESS) : 배터리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SS 기술이다. 리튬 이온 배터리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낮은 방전 속도와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여 전력 그리드와 연결된 장소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2023. 6.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