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S 란, Wi-Fi Protected Setup 의 약자로, 무선 인터넷(와이파이) 기기를 간편하게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말합니다.
■ WPS의 주요 특징
▶ 간편 연결 기능 :
복잡한 비밀번호 입력 과정 없이, 라우터(공유기)와 연결할 기기의 WPS 버튼을 각각 누르기만 하면, 자동으로 안전한 와이파이 연결이 이루어집니다.
▶ 적용 사례 :
스마트폰, 프린터, 노트북, 일부 TV 등 다양한 WPS 지원 기기를 공유기와 쉽게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 지원 방식
- 푸시 버튼(Push Button) : 공유기와 기기의 WPS 버튼을 눌러 자동으로 연결.
- PIN 코드 : WPS PIN을 기기나 공유기에 입력해 연결(공유기나 기기에 따라 지원 방식이 다름).
■ 사용법 요약
1. 공유기나 무선 라우터의 WPS 버튼을 1회 누릅니다(위치는 모델마다 다름, ‘WPS’ 또는 두 개의 화살표 마크로 표시).
2. 약 2분 이내에 연결하려는 기기(예 : 프린터, 스마트폰 등)에서 WPS 버튼을 누르거나, WPS 설정을 선택.
3. 연결이 완료되면 비밀번호를 따로 입력하지 않아도 와이파이가 자동 등록됩니다.
■ 장,단점 및 주의사항
▶ 장점
- 비밀번호 모를 때도 손쉽게 여러 기기를 추가 가능
- 설정 과정이 단순해서 초보자도 쉽게 사용 가능
▶ 단점 및 주의
- 보안 취약점 가능성 : WPS는 일부 해킹 취약점이 지적되어 비활성화 권고 사례가 있음.
- 보안이 중요한 환경에서는 WPS 기능 ‘OFF’도 검토(설정 메뉴에서 가능).
■ 참고
▶ 최신 라우터,기기는 대부분 WPS 지원하나, 구형 장비나 일부 저가형 제품에는 해당 기능이 없을 수 있습니다.
▶ 만약 공유기에 WPS 버튼이 없다면, 웹 관리페이지(설정 화면)에서 WPS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기기 연결 실패 시 공유기·기기 재부팅, 근접 거리 유지, 혹은 수동 비밀번호 입력 방법도 활용하세요.
WPS는 '버튼 하나로 빠르고 쉽게 와이파이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지만, 일부 환경에서는 보안상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반 가정 혹은 기업에서 여러 기기를 자주 연결할 때 효율적인 옵션입니다.
'IT·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aS, PaaS, IaaS란 무엇일까?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0) | 2025.08.24 |
---|---|
클러스터 (cluster)란 무엇일까? (0) | 2025.07.27 |
DIV 란 무엇일까? (Division) (0) | 2025.07.19 |
CSS 란? (Cascading Style Sheets) (0) | 2025.07.18 |
TFA (Two-Factor Authentication) 란? (0) | 202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