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

클러스터 (cluster)란 무엇일까?

by 초록보석 2025. 7. 27.
반응형

클러스터(cluster)’는 서로 연결된 시스템이나 장비들이 하나의 유기적인 집합처럼 동작하는 구조를 말합니다.

주로 컴퓨터, 서버, 데이터, 네트워크 등의 IT 분야에서 성능 향상, 안정성, 확장성 확보를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클러스터란?

정의 : 여러 대의 컴퓨터(서버 또는 노드)를 연결하여, 마치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하게 만든 집합체

클러스터의 목적

목 적 설 명
고가용성 (HA) 시스템 일부에 장애가 나도 서비스가 계속 동작하도록 함
부하 분산 (Load Balancing) 트래픽을 여러 서버로 나눠 처리, 성능 향상
확장성 (Scalability) 필요 시 서버를 추가해 성능 향상 가능
병렬 처리 (Parallel Processing) 작업을 여러 노드에 분산시켜 빠르게 처리 가능

 

클러스터의 구성 요소

용 어 설 명
노드(Node) 클러스터에 속한 개별 컴퓨터 또는 서버
마스터 노드 / 워커 노드 (Kubernetes 등에서) 작업 지시와 실행을 나눔
클러스터 매니저 클러스터 내 노드들을 제어하고 자원 분배 담당
네트워크 노드 간 통신 및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통신망

 

클러스터의 종류

종 류 특 징 예 시
고가용성 클러스터
(HA Cluster)
장애가 나도 자동으로 대체 노드가 서비스 유지 은행 서버, 병원 시스템
부하 분산 클러스터
(Load Balancing Cluster)
여러 서버가 요청을 분산해 처리 웹 서버, 게임 서버
병렬 처리 클러스터
(HPC Cluster)
대규모 계산을 여러 노드로 나눠 빠르게 처리 슈퍼컴퓨터, 과학 시뮬레이션
스토리지 클러스터 저장공간을 여러 서버에 분산 저장 NAS, Hadoop HDFS
컨테이너 클러스터 도커(Docker)나 쿠버네티스(Kubernetes)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관리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

실생활 예시

구글 검색 시스템: 전 세계 수천 대의 서버가 클러스터로 동작

네이버 웹툰: 수많은 사용자 요청을 서버 클러스터가 처리

쿠팡: 주문/배송/재고 관리 시스템이 클러스터로 구성됨

AI 연산: 병렬 처리 클러스터를 통해 학습 속도 극대화

 

클러스터와 클라우드의 관계

클라우드 서비스도 내부적으로는 수많은 클러스터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 AWS EC2 인스턴스 수십만 개가 클러스터로 묶여 있어 안정성과 확장성 확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