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16

1차 공공재개발 선정구역 (1) 1. 신문로2-12 재개발구역 추진 : 구역지정(`83) 규모 : 1,249㎡(준주거~일반상업) 입지 : 광화문역(5호선) 역세권 2. 양평13 재개발구역 추진 : 구역지정(`09) → 조합설립(`10) 규모 : 27,442㎡(준공업) 입지 : 양평역(5호선) 역세권 3. 양평14 재개발구역 추진 : 구역지정(`13) → 추진위(`14) 규모 : 11,082㎡(준공업) 입지 : 양평역(5호선) 역세권 4. 봉천13 재개발구역 추진 : 추진위(`06), 구역지정(`08) 규모 : 12,272.5㎡(준주거) 입지 : 봉천역(2호선) 역세권 5. 신설1 재개발구역 추진 : 추진위(`05), 구역지정(`08) 규모 : 11,204.15㎡(2종) 입지 : 신설동역(1,2호선) 역세권 6. 용두1-6 재개발구역 추.. 2023. 6. 18.
신속통합기획 에 대하여 (2) 신속통합기획이라는 제도의 핵심은 '신속'이 아닌 '통합'에 있다. 이 '통합'의 과정을 통해서 결과적으로 계획 및 심의 과정의 시간을 단축하여 '신속'으로 나타난다는 의미이다. 계획을 통합하고, 절차를 통합하고, 소통을 통해 주체를 통합하여 기간을 단축해 신속한 사업추진을 돕겠다는 계획이다.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도시계획 결정 부분에 있어서 사전타당성 조사부터 기초생활권계획, 정비계획수립, 도시계획위원회의 기존 5년 정도 걸렸던 소요 시간을 최대 2년으로 1/2 단축하고자 하는 계획이다. 그리고 사업시행 인가 과정 심의에서는 교통심의, 건축위원회, 환경심의를 통합심의과정을 거쳐 1/2로 단축하겠다는 의지이다. 기존에 건축심의위원회, 교통심의위원회, 환경영향평가 심의위원회가 단계별 위원회 사이 의견 차이로 .. 2023. 6. 9.
신속통합기획 이란?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은 정비계획 수립단계부터 서울시에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공공성과 사업성의 균형을 이루면서 신속하게 사업을 추진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공지원계획이다. 2021년 서울시에서 재건축·재개발의 활성화를 통해 막혔던 부동산 주택공급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여, 부동산 시장을 안정화하고자 발표한 주택공급 정책이다. 서울시, 자치구, 주민(민간)이 하나의 원팀(One Team)이 되어서 복잡한 정비사업 프로세스를 하나의 통합된 기획으로 엮어내어 신속한 사업 추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정비사업 추진을 하는 민간에서는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하는 정비계획단계나 건축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하는 건축설계 단계에서 더 유연한 계획에 대한 인센티브나 더 혁신적인 디자인 지원에 .. 2023. 6. 8.
LTV, DTI, DSR 은 각각 무엇인가 ? LTV, DTI, DSR 은 개인과 기업의 신용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금융 지표이다. LTV는 Loan to Value Ratio 의 약자로, 주택담보대출비율을 뜻한다.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인정되는 자산 가치의 비율, LTV는 대출자가 특정 부동산에 대해 대출할 수 있는 최대 대출 금액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LTV가 높다는 것은 대출자가 부동산 가치에 비해 많은 대출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대출자에게 더 위험한 것으로 간주된다. LTV(주택담보대출비율)은 은행들이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해줄 때 적용하는 담보가치 대비 최대 대출가능 한도 즉, 집을 담보로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집의 자산가치를 얼마로 보는가의 비율을 말하며, 보통 기준시가가 아닌 시가의 일정 비율로 정한다. 예.. 2023. 2. 6.
반응형